1. 다음 중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MC)에 없는 상품 카테고리는?
A. Media
B. Game
C. Hybrid & Private Cloud
D. Market Place
NCP 주요 상품 카테고리
인프라 상품군 | 플랫폼 상품군 | 어플리케이션 상품군 |
|
|
|
2. 다음 중 상품 카테고리가 다른 상품은?
A. GeoLocation
B. Chatbot
C. Cloud Outbound Mailer
D. SourceCommit
D. SourceCommit → Dev Tools 카테고리
A. GeoLocation → Application Service 카테고리
B. Chatbot → AI Service 카테고리
C. Cloud Outbound Mailer → Application Service 카테고리
3. 다음 상품 중 카테고리가 다른 상품은?
A. Effective Long Search & Analytics
B.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
C. Real User Analytics
D. Cloud Hadoop
B. 웹 서비스의 모니터링 및 상태 관리 도구로, Management 카테고리
A. C. D. Analytics 관련 서비스
4. 네이버 클라우드플랫폼 AI 서비스에서 제공하지 않는 상품은?
A. Clova OCR
B. Clova Image Recognition
C. Clova Voice
D. Clova Face Recognition
NCP에서 제공하는 AI 서비스
- Clova OCR (문자 인식)
- Clova Voice (음성 인식 및 합성)
- Clova Face Recognition (얼굴 인식 및 분석)
5. 현재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리전으로 제공되지 않는 지역은?
A. 미국 서부
B. 미국 동부
C. 홍콩
D. 싱가폴
NCP는 한국, 일본, 미국 서부, 싱가포르, 독일 등의 리전을 제공
6. 대용량 데이터를 옮기고자 할 때 네트워크 전송이 아닌 이동식 스토리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전하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상품은?
A. Data Teleporter
B. Data Migration
C. Data Mover
D. Data Transfer
Data Teleporter
대용량 데이터를 이동식 스토리지를 이용해 물리적으로 이전할 수 있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대신 물리적인 스토리지 이전을 지원
7.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서비스 중에 서버를 확장성 있게 구성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비즈니스 로직 코드로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는 상품은?
A. Lambda
B. Cloud Functions
C. Serverless
D. ActiveCode
Cloud Functions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Serverless) 서비스
서버를 구성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작성하고 비즈니스 로직만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
AWS Lambda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
A. Lambda : AWS 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 NCP 서비스가 아님
C. Serverless : 일반적인 개념. CLoud Functions 의 기술 범주에 포함됨
D. Active Code : NCP 에는 “ActiveCode” 라는 서비스 존재하지 않음
8. 고객의 기존인프라환경과 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을 전용선을 이용하여 사설 네트워크로 연결하도록 해주는 상품은?
A. Lease Line
B. Direct Connect
C. Active Connect
D. Cloud Connect
Cloud Connect
온프레미스 환경과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전용선으로 연결하는 상품
이를 통해 안정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보장
9. 국내 서비스로 한국 대상으로 대용량 파일 다운로드를 하고자 한다. 이때 현재 사용가능한 적절한 상품은?
A. CDN
B. CDN+
C. GCDN
D. GRM
CDN+
대용량 파일 전송 및 국내 네트워크 최적화에 적합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
기존 CDN보다 성능과 안정성이 개선된 서비스
10. 현재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멀티존을 제공하고 있는 리전은?
A. 일본
B. 한국
C. 독일
D. 홍콩
NCP는 한국 리전에서 멀티존(Multi-Zone)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높은 가용성과 안정성을 보장
상품 의존성
설명 | 상품 목록 | 지원 국가 | |
리전 (Region) | 리전에 종속적인 리소스 다른 존에 있는 상품들 간에도 서로 공유를 할 수 있음 |
VPC Object Storage, Archive Storage Init Script 등 |
한국 일본 미국 서부 싱가포르 독일 |
존 (Zone) | Zone 에 종속적인 리소스 | Server NAS Block Storage (위 3개는 IaaS 상품) Subnet, NAT Gateway |
한국 일본 미국 서부 싱가포르 |
전 세계 | 어느 리전에서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 | Sub Account Global Traffic Manager (리전 간 Load Balancer) Safer, Checker 등의 Security 상품 |
모든 국가/리전 |
멀티 존 | Cloud DB Load Balancer 상품 |
한국 일본 싱가포르 |
11. 다음 VPC 환경에서의 Kubernetes Service 상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A. 클러스터 형태로 Kubernetes Service를 제공한다
B. 최대 노드 생성 개수는 20개이다
C. Private Subnet에서만 생성 가능하다
D. Init Script 적용이 가능하다
B.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Kubernetes Service는 최대 노드 생성 개수에 대한 제한이 20개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클러스터 및 노드 구성은 사용자의 요구 및 계정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A. Kubernetes Service는 클러스터 형태로 제공되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이다.
C.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Kuberbnetes Service 는 Private Subnet 에서만 생성 가능하다.
D. Init Script 를 사용하여 초기 설정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12.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VPC 환경에서 멀티존 이용이 가능한 상품은? (복수선택)
A. Cloud DB MySQL
B. Load Balancer
C. Server
D. Cloud Hadoop
A: Cloud DB MySQL은 멀티존을 지원
B: Load Balancer는 고가용성을 위해 멀티존에서 사용 가능
C: Server는 특정 지역 내의 단일 존에 배포되므로 멀티존 지원이 아님
D: Cloud Hadoop은 단일 존에서만 작동
cf) 10번 설명
13. Windows SID 예방하기 위해 해야하는 작업을 바르게 설명한 것을 고르시오.
A. 윈도우 서버 상태를 정지 상태로 만든 후 이미지를 생성한다.
B. 윈도우 서버에 할당된 스토리지를 제거한 후 이미지를 생성한다.
C. Initialization Tool을 이용해서 sysprep 과정을 거친다.
D. 윈도우 서버에 ESC를 "사용안함"으로 변경한 후 이미지를 생성한다.
C. SID(Security Identifier) : Windows 시스템에서 고유 식별자로 사용됨
여러 서버가 동일한 SID 를 가지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음. 이를 예방하기 위해 sysprep(System Preparation Tool) 사용해야함
sysprep은 Windows 시스템을 초기화하여 새로운 SID를 생성하도록 도와줌
A. 서버를 정지 상태로 만드는 것은 일반적인 유지보수 작업 중 하나일 뿐, SID 충돌 예방과는 직접적인 관련 없음
B. 스토리지 제거는 SID 와 관련 없음
D. ESC 설정은 보안과 관련된 기능이며, SID 와는 관련 없음
14. 다음 보기 중 NAVER CLOUD PLATFORM NAS 상품에서 사용가능한 CLI 명령어를 모두 고르시오
A. createNasVolumeInstance
B. getNasVolumeInstanceList
C. changeNasVolumeSize
D. removeNasVolumeAccessControl
NAS 상품에서 제공하는 CLI 명령어는 모두 사용 가능 (모든 보기가 실제 명령어)
A. 새로운 NAS 볼륨 인스턴스 생성
B. NAS 볼륨 인스턴스의 목록 가져오기
C. NAS 볼륨의 크기 변경
D. NAS 볼륨의 액세스 제어 규칙 제거
15. 유사 서버 생성시 기존 서버의 설정 내용이 반영되는 항목은?
A. ACG 정보
B. 추가 스토리지
C. Init Script
D. 모니터링 설정
유사 서버 생성 시 자동으로 복사되는 정보: ACG, VPC, 서버타입
A. ACG(Access Control Group) : 서버 네트워크의 보안을 설정하는 방화벽 규칙
B: 추가 스토리지 : 별도로 설정해야 하므로 반영되지 않음
C: Init Script : 유사 서버 생성과 무관하게 수동으로 지정
D: 모니터링 설정 : 반영되지 않음
16. 유사 서버 생성시 기존 서버의 설정 내용이 반영되지 않는 항목은?
A. VPC
B. Init Script
C. ACG
D. 서버 타입
Init Script:
Init Script는 유사 서버 생성 시 자동으로 적용되지 않으며, 수동으로 설정해야 함
A: VPC: 유사 서버 생성 시 동일한 VPC 내에서 생성
C. ACG: Access Control Group(ACG) 정보는 유사 서버 생성 시 자동으로 복사
D. 서버 타입: 기존 서버와 동일한 서버 타입으로 생성
17. VPC환경/Classic 2세대 서버의 Standard 서버 스펙 중 생성 가능한 서버 스펙은 무엇인가요?
A. vCPU 2개, RAM 8GB
B. vCPU 2개, RAM 4GB
C. vCPU 2개, RAM 16GB
D. vCPU 4개, RAM 4GB
standard 서버 타입은 CPU : Memory = 1 : 4
일반 서버
서비스 규모와 용도에 적합한 서버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타입 제공
서버 타입 | CPU : Memory | 특징 | 추천 용도 |
Standard | 1:4 | 범용성 높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vCPU 대비 Memory 비율을 균형 있게 할당하여 다양한 워크 로드에 적합 | 일반 웹 & 데이터베이스 서버 |
High CPU | 1:2 | 컴퓨팅 집약적 워크 로드에 적합 | 과학적 모델링 게임 서버 |
High Memory | 1:8 | 대용량 데이터 처리 등과 같은 메모리 집약적 워크 로드에 적합 |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서버 대규모 게임 서비스 |
CPU Intensive | 1:2 | 고성능 CPU를 장착하여 많은 연산이 필요한 업무에 최적화된 서버 | 머신/딥러닝을 처리 서버 고성능 웹서버 HPC / 배치 처리 비디오 인코딩 |
18. 서버 상세보기에서 확인 가능한 내용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A. 서버 생성 일시
B. 서버 OS
C. 최근 종료 일시
D. 추가된 스토리지 정보
19. Object Storage API를 제공하는 리전이 아닌 것은?
A. 미국 서부
B. 싱가포르
C. 독일
D. 홍콩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Object Storage 리전: 한국, 미국 서부, 싱가포르, 일본, 독일 리전에서 API를 제공
cf) 10번 설명
20.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오토 스케일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CLI로 제어할 수 있다
B. 스케일 인 대상 VM에 대한 사용자 지정이 가능하다
C. 기본적으로 오토스케일링을 이용하면 서버를 무한정 늘릴 수 있다.
D. GPU, BareMetal 등 모든 타입의 서버 상품들은 오토스케일링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A. CLI를 이용하여 오토스케일링 그룹을 생성하거나 설정 가능
B. 사용자가 특정 인스턴스를 스케일 인 대상으로 설정 가능 (종료할 VM을 우선 지정 가능)
C. 오토스케일링은 그룹당 최대 인스턴스 수 제한 있음 (설정해야 함)
D. GPU와 Bare Metal 서버는 지원되지 않음 (가상 서버에만 적용 가능)
21. NAS 볼륨의 데이터를 스냅샷 이미지 A를 이용하여 복원했을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고르시오.
A. A 이후 생성된 스냅샷 이미지는 모두 삭제된다.
B. A 이전 생성된 스냅샷 이미지는 모두 삭제된다
C. 모든 스냅샷 이미지가 삭제된다.
D. 복원 즉시 삭제할 이미지 선택 팝업창이 뜬다.
A. 스냅샷 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면, 스냅샷 A 이후에 생성된 데이터와 스냅샷은 복구 과정에서 무효화되므로 삭제된다.
B. A 이전의 스냅샷은 복구 과정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삭제되지 않는다.
C. 복원 과정에서 스냅샷 전체가 삭제되는 경우는 없다.
D. 스냅샷 복원은 팝업창 없이 지정된 스냅샷으로 복원이 진행된다.
22. MC(Main Console)에서 설정 불가능한 상품은 무엇인가? (모두 고르시오)
A. Hybrid Cloud Hosting
B. Papago NMT
C. Backup
D. Workplace
A. Hybrid Cloud Hosting : 과거 상품이므로 MC에서 설정 불가능.
B. Papago NMT : AI 서비스. 네이버 클라우드 팰랫폼의 AL/ML 서비스 카테고리에서 별도로 설정 및 관리.
D. Workplace : 기업용 협업 도구. 독립된 플랫폼을 통해 설정 및 관리. MC 에서는 지원되지 않음
C. Backup : 현재도 Main Console에서 직접 설정 가능.
23. 리눅스 서버에 추가 스토리지가 10GB였는데 이를 20GB로 용량을 증설한 경우 기존 스토리지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볼륨을 확장하는 패키지는 무엇인가?
A. LVM
B. Spanned Volume
C. fdisk
D. growpart
growpart
기존 파티션의 크기를 데이터 손실 없이 확장할 수 있는 도구.
NCP환경에서 용량 증설 시 권장됨
cf) 스토리지 크기를 확장 후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을 변경할 때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스냅샷을 생성하는 것이 좋음
A. LVM은 논리 볼륨 관리를 통해 디스크 공간을 유연하게 할당하고 확장할 수 있지만, 기존에 LVM으로 설정되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미 LVM이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B. Spanned Volume :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볼륨으로 결합하는 방식. 주로 Windows 환경에서 사용됨. 리눅스 환경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
C. fdisk :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는 도구. 기존 데이터를 유지하면서 확장하는 기능을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24. 내 서버 이미지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내 서버 이미지는 Storage 메뉴에서 Storage 단위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B. Classic 환경에서는 서버가 정지중인 상태에서만 생성가능하다.
C. VPC 환경에서는 서버가 운영중인 상태에서도 생성가능하다.
D. 기존 서버 스펙과 다른 서버 스펙으로 서버를 만들 수 있다.
A. 내 서버 이미지는 서버 단위로 생성한다. Storage 단위로 이미지를 생성하지 않는다.
B. Classic 환경에서는 서버가 정지 상태일 때만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C. VPC 환경에서는 서버가 운영 중인 상태에서도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D. 내 서버 이미지를 기반으로 기존 서버와 다른 스펙으로 새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25. 다음 중 VPC 환경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Zone에 종속적이지 않은 상품은?
A. 서버
B. 로드밸런서
C. 서브넷
D. NAT Gateway
B. 로드밸런서는 VPC 환경에서 멀티존(Multi-Zone) 지원을 통해 고가용성을 지원하며, 특정 Zone에 제한되지 않는다.
A. 서버는 특정 Zone에 배치되며, 해당 Zone에 종속적이다.
C. 서브넷은 특정 Zone에 할당되므로 Zone에 종속적이다.
D. NAT Gateway는 특정 Zone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Zone에 종속적이다.
cf) 10번 설명
26. 해외 사용자의 경우 도메인에 접속하는 IP를 보고 해당 국가에 인접한 리전의 서버로 접속시키고자 할 때 사용가능한 상품은?
A. GCDN
B. Global Route Manager
C. GIS
D. Load Balancer
Global Traffic Manager(GTM)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Global Route Manager(GRM)라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2024.12.04 기준)
- Global Traffic Manager(GTM)으로 바뀌어 그 기능을 대체하고 있다.
- 사용자의 IP 를 기반으로 가장 인접한 리전의 서버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서비스
- DNS 기반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로드 밸런싱하는 서비스
- 다양한 분기 처리 알고리즘을 지원
- 헬스 체크 기능을 통해 리소스의 가용성과 연속성을 확보 가능
A. GCDN : 콘텐츠를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전달하기 위한 CDN 상품
C. GIS : 지리 정보를 분석 및 시각화하는 시스템
D. Load Balancer : 동일한 리전 내의 서버 간 트래픽 분산을 처리
27. RAID 1(미러)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A. 단순 볼륨에 비해 쓰기 속도가 뛰어나다.
B. 단순 볼륨에 비해 읽기 속도가 뛰어나다.
C. 저장공간의 손실이 없다.
D. 패리티를 이용한 디스크 복구가 가능하다.
B. RAID 1은 데이터를 미러링하여 복사본이 존재하므로, 읽기 작업에서 두 디스크를 병렬로 활용할 수 있어 단순 볼륨보다 속도가 빠르다.
A. RAID 1은 데이터가 두 개의 디스크에 동시에 복사되므로 쓰기 작업에서 오버헤드가 발생해 단순 볼륨보다 느릴 수 있다.
C. RAID 1은 데이터 복제를 위해 동일한 데이터를 두 개의 디스크에 저장하므로, 저장 공간의 절반이 손실된다.
D. RAID 1은 단순 미러링 방식으로 데이터 복제를 수행하며, 패리티를 사용하지 않는다.
패리티는 RAID 5나 RAID 6에서 사용된다.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디스크를 병렬연결하여 사용하며 여러 개의 디스크에 중복된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
레벨
RAID 0 |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디스크에 저장하는 방식 (스트라이핑 방식) |
RAID 1 | 하나의 디스크를 완벽하게 똑같이 거울처럼 복사해서 저장하는 방식 (미러링 방식) |
RAID 1 0+1 | 스트라이핑 후 미러링 진행함 |
RAID 1+0 | 미러링 후 스트라이핑 진행함 |
RAID 4 | 스트라이프 볼륨 + 전용 패리티 비트 디스크 |
RAID 5 | 스트라이프 볼륨 + 분산된 패리티 비트 디스크 |
28. Archive Storage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A. 자주 read가 일어나는 데이터 저장에 최적합한 스토리지이다.
B. 데이터 최소 보관 기간은 90일로 설정되어 있다.
C. Swift API를 활용해서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다.
D. Object Storage와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라이프 사이클 관리가 불가능하다.
C. Archive Storage는 OpenStack Swift API( Swift API 와 동일)를 활용하여 데이터 저장, 검색, 삭제 등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 Archive Storage는 장기 보관용으로 설계되어 자주 액세스되지 않는 데이터에 적합하다.
B. NCP의 Archive Storage는 데이터 최소 보관 기간에 대한 명시적인 제한이 없다.
D. Archive Storage는 Object Storage와 연동하여 데이터의 라이프 사이클 관리를 지원한다.
29. 다음의 설명을 지칭하는 용어는?
"서비스로의 인프라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Computing, Networking, Storage 등의 IT 리소스를 서비스 형태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한 종류"
A. PaaS
B. IaaS
C. SaaS
D. FaaS
서비스 종류
종류 | 설명 | 예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플랫폼을 서비스로 제공 운영체제, 런타임, 개발 도구 등을 포함 |
Goole App Engine AWS Elasti Beanstalk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비스로 제공되는 인프라. 컴퓨팅(서버), 네트워킹, 스토리지 등의 IT 리소스를 가상화 형태로 제공 사용자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서비스로 이용하며, 필요에 따라 확장하거나 축소 가능 |
Naver Cloud Platform 의 VPC, 서버, NAS 등 |
SasS (Software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에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설치 없이 웹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 | Google Workspace Microsoft Office 365 |
FasS (Function as a Service) |
특정 기능이나 이벤트 기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지원하는 서버리스 서비스. 사용자는 코드만 작성하면 됨 |
AWS Lambda NCP Cloud Functions |
30. MC(Main Console) 상에 보여지는 서버의 호스트 네임을 변경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A. 콘솔에서 서버 이름 변경을 선택하여 호스트명을 변경한다.
B. /etc/sysconfig/network 파일을 수정한다.
C. /etc/sysconfig/hostname을 수정한다.
D. 한 번 생성된 서버의 이름은 변경할 수 없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Main Console에서는 서버 이름(호스트명)을 관리용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서버 이름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MC 상에서 보여지는 이름은 서버 내부의 호스트네임과 별개의 개념일 수 있으나,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관리 콘솔을 통해 직접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B. /etc/sysconfig/network 파일 : 네트워크 설정 파일로, 호스트명 변경보다는 네트워크 구성과 관련이 있다.
C. /etc/sysconfig/hostname을 수정 : 서버 내부의 호스트명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방법. Main Console에서 보여지는 이름과는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다.
D. 서버 이름은 변경 가능합니다. MC에서 제공하는 이름 변경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31. 다음 서버 상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A. Micro 타입의 서버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B. Classic과 VPC 환경에 있는 서버들 간 사설망 통신은 불가능하다.
C. 그래픽 카드 사용이 필요할 땐 GPU 서버를 이용하면 된다.
D. 도커 이미지를 보관할 수 있는 상품으로 Container Bucket이 존재한다.
A. Micro 타입의 서버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되며, 테스트 및 경량 애플리케이션 용도로 사용 가능
B. Classic 환경과 VPC 환경 간의 사설망 통신은 구조상 지원되지 않는다.
C.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그래픽 카드나 고성능 연산이 필요한 작업에 GPU 서버를 제공한다.
D.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Docker 이미지를 보관하는 서비스로 Container Registry를 제공한다.
Container Bucket 은 잘못된 명칭 (단, 비공식적으로는 Container Registry 와 Container Bucket 을 혼용해서 사용)
32. 서로 다른 용량으로 구성된 디스크로 RAID를 구성할 경우 디스크에서 제공되는 모든 용량을 사용하기 위해 구성 가능한 RAID 레벨은?
A. RAID 0
B. RAID 1
C. RAID 5
D. RAID 1+0
A. RAID 0 : 스트라이핑(Striping) 방식을 사용. 데이터를 모든 디스크에 나누어 저장.
디스크 용량의 합을 그대로 활용하며, 서로 다른 용량의 디스크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B. RAID 1 : 미러링(Mirroring) 방식. 각 디스크에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
가장 작은 디스크의 용량만큼만 사용 가능하므로, 서로 다른 용량의 디스크를 사용하면 효율이 떨어진다.
C. RAID 5 : 패리티(Parity)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지만 각 디스크의 용량이 동일해야 한다.
서로 다른 용량의 디스크를 사용하면, 가장 작은 디스크의 용량만큼만 활용된다.
D. RAID 1+0 : RAID 1+0(또는 RAID 10)은 미러링과 스트라이핑을 결합한 방식. 각 디스크 쌍의 용량이 동일해야한다.
서로 다른 용량의 디스크를 사용할 경우, 가장 작은 디스크의 용량만큼만 활용된다.
33. 외부에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Classic 환경에서는 포트 포워딩 설정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다.
B. 서버 생성 시 자동 할당되는 퍼블릭 도메인을 이용해서 접속할 수 있다.
C. SSL VPN을 이용해서 접속할 수 있다.
D. 공인 IP를 서버에 할당해서 접속할 수 있다.
B.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서버 생성 시 자동으로 퍼블릭 도메인이 제공되지 않는다. 접속하려면 공인 IP를 별도로 할당하거나 VPN을 통해 접속해야 한다.
A. Classic 환경에서는 NAT 게이트웨이와 포트 포워딩을 통해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서버에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다.
C. SSL VPN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보안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원격지에서 안전하게 내부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
D. 공인 IP를 서버에 할당하면 외부에서 해당 서버로 직접 접속할 수 있다.
34. NAS 볼륨 스냅샷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NAS 볼륨 가용량 안에서 생성된다.
B. 추가작업 없이 CDN+의 커스텀 오리진으로 사용할 수 있다.
C. 볼륨 스냅샷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D. 스냅샷을 이용해서 동일한 데이터의 NAS 볼륨을 추가 생성 가능하다.
A. 스냅샷은 NAS 볼륨의 가용 용량 내에서 생성되며, 스냅샷을 저장할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
C. 현재 NAS 볼륨 스냅샷 자체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다만, NAS 볼륨의 사용량 모니터링은 가능하다.
B. CDN+의 커스텀 오리진으로 NAS를 사용하려면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하다. NAS를 직접 오리진으로 사용하는 것은 지원되지 않으며, Object Storage 등을 활용해야 한다.
D. 스냅샷을 활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 새로운 NAS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
35. NAS 볼륨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A. NAS 볼륨을 생성하면 NAS 전용 웹페이지 URL이 생성되며, 로그인할 수 있는 ID/PW가 생성된다.
B. NAS 스냅샷 이미지는 용량, 기간 제한 없이 생성 가능하다.
C. VM에 NASB 마운트하기 위해서는 Private Subnet 생성 후 해당 VM(NAS 마운트 해야 할 VM)에 추가 NIC를 등록해야 한다.
D. NAS 스냅샷은 NAS 볼륨 내 설정한 용량(%)만큼 생성되며, 초과 시 오래된 것부터 삭제처리된다.
D. NAS 스냅샷은 NAS 볼륨 내에서 설정한 스냅샷 할당 비율만큼의 용량을 사용하며, 할당된 스냅샷 용량이 초과되면 오래된 스냅샷부터 자동으로 삭제된다.
A. NAS 볼륨 생성 시 별도의 웹페이지 URL이 제공되지 않는다.
CIF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NAS 볼륨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 정보(ID/PW)가 생성되며, 이는 콘솔에서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B. NAS 스냅샷은 NAS 볼륨의 할당된 용량 내에서 생성되며, 스냅샷을 위한 공간을 별도로 설정해야 한다.
스냅샷 보관 기간은 최대 7일로 제한된다.
C. NAS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서버에 사설 IP를 통해 마운트할 수 있으며, 추가 NIC를 등록할 필요는 없다.
36. Block Storage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A. 기본 스토리지(=root 볼륨)가 HDD 타입일 경우 추가 스토리지도 HDD만 할당 가능하다
B. 기본 스토리지(=root 볼륨)가 SSD 타입일 경우 추가 스토리지도 HDD만 할당 가능하다
C. 기본 스토리지(=root 볼륨)가 HDD 타입일 경우 추가 스토리지는 SSD만 할당 가능하다
D. 기본 스토리지(=root 볼륨)의 디스크 타입과 무관하게 추가 스토리지는 HDD/SSD 모든 타입 볼륨 할당 가능하다.
D. 기본 스토리지의 디스크 타입과 상관없이 추가 스토리지는 HDD나 SSD 중 원하는 타입으로 할당할 수 있다.
37.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스냅샷 이미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A. 신규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B. 신규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
C. 스냅샷 이미지는 사용에 있어 과금은 발생하지 않는다.
D.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스냅샷 이미지를 export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B. 생성된 스냅샷을 활용하여 새로운 스토리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복원이 가능하다.
A. 스냅샷 이미지는 스토리지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기능으로, 이를 직접 이용하여 새로운 서버를 생성할 수 없다.
신규 서버 생성을 위해서는 '내 서버 이미지'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C. 스냅샷 이미지는 저장 용량에 따라 과금되며, 원본 서버의 디스크 타입(HDD, SSD)과 상관없이 HDD Block Storage 요금을 기준으로 과금된다.
D. 현재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스냅샷 이미지를 외부로 내보내는(export)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38. NAS 스토리지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A. NAS를 생성 시 기본적으로 스냅샷이 활성화된다.
B. NAS 볼륨의 최대 용량은 10TB이다.
C. NA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CG에서 NAS와의 포트를 열어주어야 한다.
D. NAS 용량을 늘이거나 줄일 때의 단위는 50GB이다.
B. NAS 볼륨은 최소 500GB에서 최대 10TB까지 생성할 수 있다.
A. NAS 생성 시 스냅샷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활성화해야 한다.
C. NAS는 네이버 클라우드의 사설 IP를 통해 동작하므로, ACG 설정이 필요하지 않다.
D. NAS 용량을 늘리는 단위는 50GB가 아닌, 500GB 이상 단위로 생성 및 증설이 가능하다.
39.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InitScrip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VM 생성 시 최초 1회 구동된다.
B. 서버를 리부팅할 때마다 구동된다.
C. 리눅스 계열 서버의 경우 nodejs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작성할 수 있다.
D. 윈도우 계열의 서버의 경우 PowerShell을 이용해서 작성할 수 있다.
A. Init Script는 서버 생성 시 자동으로 실행되며, 이는 서버 초기 환경 구축 시 유용하다.
B. Init Script는 서버 생성 시에만 실행되며, 서버 재부팅 시에는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는다.
C. 리눅스 계열 서버에서는 Python, Perl, Shell 등의 스크립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Node.js 스크립트는 지원되지 않는다.
D. 윈도우 계열 서버에서는 Visual Basic 스크립트만 사용할 수 있으며, PowerShell은 지원되지 않는다.
40. Backup 상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콘솔 [백업 신청하기] 메뉴를 통해서 신청해야 한다.
B. VM 내부 데이터에 대한 백업은 지원하지 않는다.
C. VM 내부 database에 대한 백업은 지원하지 않는다.
D. 백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NCP 콘솔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양식을 작성한 후 고객센터에 인입해야 한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Services > Storage > Backup 메뉴에서 백업에 필요한 리소스를 생성하고 바로 관리할 수 있다.
B. Backup 서비스는 다양한 버전의 Linux, Windows 계열 운영 체제에서 서버의 데이터 영역 및 서버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MSSQL, MySQL, PostgreSQL)의 온라인 백업을 지원한다.
C. Backup 서비스는 서버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MSSQL, MySQL, PostgreSQL)의 온라인 백업을 지원한다.
D. Backup 서비스는 콘솔 기반의 자동화된 서비스로, 사용자가 직접 백업 서비스 신청 및 정책 설정을 할 수 있다.
41. 다음 보기 중 전가상화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고르시오.
A. 하이퍼바이저 타입 2의 한 종류이다.
B. 하이퍼콜이라는 특수 시스템콜을 이용해서 VM을 관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C. 하이퍼 바이저 위 구동할 수 있는 게스트 OS종류에 대한 제약이 없다.
D. 초기에는 리눅스 등 오픈소스 OS만 게스트 OS로 사용할 수 있었다.
C. 전가상화는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하여 게스트 OS의 수정 없이 다양한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구동할 수 있는 게스트 OS 종류에 제약이 없다.
A. 전가상화는 하이퍼바이저의 한 방식이며, 하이퍼바이저는 타입 1(베어메탈)과 타입 2(호스트형)으로 구분된다. 전가상화는 이러한 타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B. 하이퍼콜은 반가상화(Paravirtualization)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게스트 OS가 하이퍼바이저와 직접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이다.
D. 전가상화는 게스트 OS의 수정 없이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므로, 초기부터 리눅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OS를 게스트로 사용할 수 있었다.
42.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의 추가 스토리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최소 10GB에서 최대 1TB까지 생성 가능하다.
B. 최대 15개까지 추가할 수 있다.
C. 생성된 스토리지는 용량 증설이 가능하다.
D. 스냅샷을 바탕으로 추가 스토리지 생성이 가능하다.
B. 서버 생성 시 기본 스토리지 1개가 제공되며, 이외에 최대 15개의 스토리지를 추가할 수 있다.
C. 생성된 스토리지는 용량을 확장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 크기는 확대만 가능하고 축소는 불가능하다.
D. 스냅샷 기능을 통해 데이터의 백업 및 손쉬운 볼륨 복제가 가능하다.
A. 추가 스토리지는 최소 10GB에서 최대 2TB까지 생성 가능하다.
43. 베어메탈 서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디스크는 RAID 1+0, RAID 5 중 선택할 수 있다.
B. 내 서버 이미지를 사용할 수 없다.
C. Ubuntu OS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D. Windows 2012 OS가 제공되고 있다.
D. Windows Server 2012 OS는 현재 지원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A. 베어메탈 서버는 디스크 구성을 RAID 1+0 또는 RAID 5로 설정할 수 있다.
B. 베어메탈 서버는 '내 서버 이미지'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며, 기존 서버 이미지를 사용하는 데 제약이 있다.
C.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베어메탈 서버는 CentOS, Oracle Linux, Windows Server를 지원하며, Ubuntu OS는 지원하지 않는다.
44. 서버이미지 빌더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내부적으로 Packer를 사용한다.
B. 추가 스토리지를 붙여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C. Script 버전 관리가 가능하다.
D. 스크립트는 JavaScript 언어로 작성한다.
D. 서버 이미지 빌더에서 사용하는 스크립트는 운영 체제에 따라 Shell Script(Linux) 또는 PowerShell(Windows)로 작성해야한다.
A. 서버 이미지 빌더는 내부적으로 오픈소스인 Packer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B. 서버 이미지 빌더를 통해 추가 스토리지를 연결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C. 서버 이미지 빌더는 스크립트의 버전 관리를 지원한다.
45.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VPC 환경 기준, Zone에 종속적인 상품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A. Public Subnet
B. Private Subnet
C. Load Balancer
D. NAT Gateway
C. Load Balancer는 멀티 존을 지원하며, 특정 Zone에 종속되지 않는다.
A. Public Subnet은 특정 Zone에 생성되며, 해당 Zone에 종속적이다.
B. Private Subnet 역시 특정 Zone에 생성되며, 해당 Zone에 종속적이다.
D. NAT Gateway는 특정 Zone에 생성되며, 해당 Zone에 종속적이다.
cf) 10번 설명
46. Block Storage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A. HDD 타입의 경우 1GB당 30 MAX IOPS를 보장한다.
B. HDD 타입의 경우 1GB당 40 MAX IOPS를 보장한다.
C. SSD 타입의 경우 1GB당 30 MAX IOPS를 보장한다.
D. SSD 타입의 경우 1GB당 40 MAX IOPS를 보장한다.
IOPS (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
- 디스크가 초당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요청 수 (입출력 작업 수)
- 일반적으로 랜덤 읽기/쓰기 성능을 측정하는 데 사용
MAX IOPS
- 스토리지에서 제공할 수 있는 최대 IOPS
- 디스크 크기, 스토리지 타입(HDD/SSD), 연결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스토리지의 성능 스펙을 보장하기 위해 MAX IOPS 를 명시한다.
NCP Block Storage 타입
SSD Block Storage | HDD Block Storage |
|
|
D. SSD 블록 스토리지는 10GB~100GB 구간에서 4,000 IOPS를 제공하며, 이후 1GB당 40 IOPS씩 증가하여 최대 20,000 IOPS까지 제공
A. B. HDD 타입의 블록 스토리지에 대한 IOPS 보장 수치는 공식 문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47. 김초록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위에서 매일 밤 12시에 간단한 배치 작업을 돌려야 한다.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은?
A. Strandard 타입 서버를 생성하여 배치 작업을 돌린다.
B. High CPU 타입 서버를 생성하여 배치 작업을 돌린다.
C. Cloud Function를 이용하여 배치 작업을 돌린다.
D. BareMetal 서버를 생성하여 배치 작업을 돌린다.
Cloud Functions
- 서버리스 환경: Cloud Functions는 서버 관리나 프로비저닝 없이 원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간단하게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서버리스형 서비스
- 비용 효율성: 코드가 실행된 만큼만 과금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서버를 운영하는 것보다 비용 효율적이다.
- 자동 확장성: 갑작스러운 요청 증가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배치 작업의 규모가 변동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A. Standard 타입 서버 : 상시 실행되므로, 배치 작업 외의 시간에도 비용이 발생한다.
B. High CPU 타입 서버 : 고성능이지만, 간단한 배치 작업에는 과도한 스펙이며, 비용이 높다.
D. BareMetal 서버 : 물리 서버로, 관리 부담이 크고 비용이 가장 높다.
48. 스냅샷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스냅샷 기능을 이용해서 현재와 동일한 데이터의 서버를 만들 수 있다.
B. 스냅샷 기능을 이용해서 현재와 동일한 데이터와 추가 볼륨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C. 스냅샷 기능을 이용해서 현재와 동일한 데이터의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
D. 콘솔에서 제공하는 스케줄링 스냅샷 기능을 이용해서 Custom 주기로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다.
C. 스냅샷을 사용하여 특정 시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스토리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
A. 스냅샷은 스토리지의 특정 시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으로, 이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 스토리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여 서버 전체를 생성할 수는 없다.
B. 스냅샷은 개별 스토리지 단위로 생성되며, 여러 볼륨을 동시에 스냅샷으로 생성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D.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스냅샷 스케줄링 기능은 제공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수동으로 스냅샷을 생성해야 한다.
49. VPC/Classic 2세대 서버의 High Memory 서버 스펙 중 생성가능한 서버 스펙은 무엇인가?
A. vCPU 4개, RAM 8GB
B. vCPU 8개, RAM 8GB
C. vCPU 2개, RAM 8GB
D. vCPU 16개, RAM 128GB
High Memory 서버 타입은 CPU : Memory = 1 : 8
cf) 17번 설명
50.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서버 이미지 빌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시오.
A. 서버 이미지 생성에 사용되는 Packer용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도록 도와주는 상품이다.
B. 이미지 생성 시 추가 볼륨에 대한 스토리지 설정은 할 수 없다.
C. 오픈소스인 Packer를 활용해서 구현한 것이다.
D. 템플릿에 대한 버전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B. 서버 이미지 빌더를 사용하면 이미지 생성 시 추가 볼륨에 대한 스토리지 설정이 가능하다.
A. 서버 이미지 빌더는 Packer용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관리하여 서버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C. 서버 이미지 빌더는 오픈소스 도구인 Packer를 활용하여 구현되었다.
D. 서버 이미지 빌더는 템플릿에 대한 버전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51. Server Image Builder에서 이미지 생성 시 Provisioners를 작성하게 됩니다. Provisioners를 작성하는 포맷은 어떤 포맷으로 작성해야 하나요?
A. CSV
B. JSON
C. XML
D. HTML
JSON
경량 데이터 교환 형식
구조화된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사용됨
Server Image Builder에서 Provisioners를 작성할 때 이 형식을 사용한다.
A. CSV(Comma-Separated Values) : 주로 간단한 데이터 저장 및 교환에 사용되며, 스크립트나 설정 파일 작성에는 적합하지 않다.
C.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데이터 표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로, 가독성이 떨어지고 복잡도가 높아 설정 파일 작성 시 선호되지 않는다.
D.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마크업 언어로, 설정 파일 작성과는 무관하다.
52. Block Storage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A. 볼륨 detach는 아직 제공하지 않는다. (향후 지원 예정)
B. 볼륨 detach는 기본 스토리지(= root 볼륨)에 한해서 제공한다.
C. 볼륨 detach 기능은 현재 API를 통해서만 제공한다.
D. VM 상태에 따라 볼륨 detach가 불가능할 수 있다.
D. VM의 상태에 따라 볼륨 detach가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M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는 볼륨을 detach하기 전에 VM 내부에서 해당 볼륨을 언마운트해야 한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이미 볼륨 detach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B. 기본 스토리지(root 볼륨)는 detach할 수 없다. 추가로 연결된 스토리지에 대해서만 detach 기능이 제공된다.
C. 볼륨 detach 기능은 콘솔을 통해서도 제공되며, API를 통해서만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53. NAS 스토리지를 생성할 때 최소 용량은 얼마인가?
A. 100GB
B. 500GB
C. 1TB
D. 5TB
NCP에서 NAS 스토리지를 생성할 때의 용량
- 최소 용량: 500GB
- 최대 용량: 10,000GB
- 증설 단위: 100GB 단위로 설정 가능
54. 네이버 오토스케일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모든 서버 타입에 대해서 오토 스케일링을 사용할 수 있다.
B. 오토스케일링을 통해 스케일아웃되는 VM들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Load Balancer 상품과 연동할 수 있다.
C. 오토스케일링에 스케일 인/아웃되는 이벤트에 대한 알람(SMS/Email)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D. 내 서버 이미지를 오토스케일링 베이스 이미지로 사용할 수 없다.
B. 오토스케일링 그룹에서 생성된 서버들은 로드밸런서와 연동하여 트래픽을 분산 처리할 수 있다.
A. 오토스케일링은 일반 가상 서버에 대해서만 지원되며, GPU 서버나 베어메탈 서버 등 특수 서버 타입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C. 오토스케일링은 스케일 인/아웃 이벤트 발생 시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D. 오토스케일링 설정 시 퍼블릭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성한 내 서버 이미지를 베이스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다.
55.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추가 스토리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A. HDD/SSD 두 가지 볼륨을 제공한다.
B. 추가 스토리지에 대한 detach 기능을 제공한다.
C. 추가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업사이징(확대) 기능을 제공한다.
D. 추가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다운사이징(축소) 기능을 제공한다.
D. 스토리지의 크기는 확장만 가능하며, 축소할 수 없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HDD와 SSD 두 가지 타입의 블록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B. 추가 스토리지는 서버에서 분리(detach)하여 다른 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
C. 추가 스토리지의 용량은 확장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 크기 변경 여부는 스토리지 상세 정보의 '크기 변경 여부'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56.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GPU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A. 서버 한 대에 최대 12장의 GPU 카드를 작성할 수 있다.
B. GPU Core 단위로 할당가능하다.
C. PCI Pass Through 방식으로 제공한다.
D. Telsa P100을 제공한다.
C.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GPU 서버는 PCI Pass Through 방식을 통해 GPU를 직접 할당하여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GPU 서버는 VM당 최대 4개의 GPU 자원을 제공하며, 베어메탈 서버의 경우 최대 8개의 GPU 자원을 제공한다.
B. GPU는 코어 단위가 아닌 물리적인 GPU 카드 단위로 할당된다.
D.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NVIDIA Tesla P40과 T4 GPU를 제공하며, Tesla P100은 제공하지 않는다.
57.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환경에서의 내 VPC 서버 이미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A. 내 서버 이미지를 이용해서 생성한 서버의 사설 IP는 변하지 않는다.
B. 내 서버 이미지 사용에 있어 과금은 발생하지 않는다.
C. 내 서버 이미지는 생성한 리전 외의 다른 리전으로 복제가 불가능하다.
D. 내 서버 이미지는 서버가 운영중인 상태에서도 생성 가능하다.
D. VPC 환경에서는 서버가 운영 중인 상태에서도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A. 내 서버 이미지를 이용해 새로운 서버를 생성하면, 해당 서버는 새로운 사설 IP를 할당받는다.
B. 내 서버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에는 스토리지 사용량에 따라 과금이 발생한다.
C. 내 서버 이미지는 생성한 리전 외의 다른 리전으로 복제할 수 있다.
58. 다음 VPC 환경에서의 AC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A. 서버 NIC에 매핑된다.
B. Inbound/Outbound 룰 설정 모두 가능하다.
C. 허용/거부 룰 설정이 모두 가능하다.
D. 서버 생성 시 필수적으로 매핑해야 하는 요소이다.
ACG : 특정 서버(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규칙 집합
C. ACG는 허용 규칙만 설정할 수 있으며, 명시적으로 허용되지 않은 트래픽은 기본적으로 차단된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VPC 환경에서 ACG(Access Control Group)는 서버의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매핑되어 동작한다. NIC는 서버와 네트워크 간 통신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로, ACG는 이 NIC에 적용되어 네트워크 접근 제어(Access Control) 를 수행한다.
B. ACG는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트래픽에 대한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D. 서버 생성 시 ACG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 ACG가 적용되며, 이후에도 ACG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59. 서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다양한 스펙의 상품군이 존재한다.
B. VDS는 홍콩에서 제공하고 있지 않다.
C. Compact/Standard/High Memory 서버는 모든 리전에서 사용 가능하다.
D. Micro 서버는 Classic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C. 서버 타입별로 제공되는 리전이 다를 수 있으며, 모든 리전에서 Compact, Standard, High Memory 서버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Compact, Standard, High Memory, GPU 등 다양한 스펙의 서버 상품군을 제공한다.
B. 네이버 클라우드는 2024년 8월 30일부로 홍콩 리전의 운영을 중단하였으며, 이에 따라 VDS를 포함한 모든 서비스를 홍콩 리전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D. Micro 서버는 Classic 환경에서 제공되며, VPC 환경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60. 서버 상태값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A. 생성 중 - 서버 이미지로부터 서버를 생성하는 단계
B. 부팅 중 - 서버 생성이 완료되고 전원이 공급되어 부팅되는 단계
C. 설정 중 - 사용자가 서버 설정을 변경하여 변경된 내용이 반영되는 중
D. 종료 중 - 서버가 반납된 상태
D. '종료 중' : 운영 중인 서버를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반납 중'이 서버가 반납되는 상태
A. '생성 중' :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 서버를 생성하고 있는 상태
B. '부팅 중' : 서버가 부팅되고 있는 상태
C. '설정 중' : 생성된 서버에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을 적용하고 있는 상태
61. 네이버 클라우드플랫폼 서버에 할당된 추가 스토리지를 detach 할 수 있을 때는?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볼륨 detach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않다.
B. 서버의 상태와 무관하게 추가 스토리지는 detach 할 수 있다.
C. 서버가 "운영 중" 상태라도 서버 내부에서 마운트(mount)만 되지 않았다면 추가 스토리지는 datach 할 수 있다.
D. 서버가 상태가 "정지" 상태라면 추가 스토리지는 detach 할 수 없다.
C. 서버가 실행 중인 상태라도 추가 스토리지를 사용하지 않도록 서버 내부에서 마운트 해제(umount)한 경우 detach가 가능하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추가 스토리지에 대한 detach 기능을 제공한다.
B. 서버의 상태나 내부 설정에 따라 추가 스토리지의 detach 가능 여부가 달라진다.
D. 서버가 정지 상태라면 추가 스토리지를 detach할 수 있다.
62. 다음 서버 타입 중 Live Migration이 지원되지 않는 서버 타입은 무엇인지 고르시오.
A. Standard
B. High CPU
C. High Memory
D. BareMetal
Live Migration
서버가 죽지 않고 호스트서버가 변경되는 것
D. 물리 서버를 직접 제공하는 타입으로, 가상화 계층이 없기 때문에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 지원되지 않는다.
A. 표준 서버 타입으로, 가상화 기술을 활용하여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 지원된다.
B. 고성능 CPU를 제공하는 서버 타입으로, 가상화 환경에서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다.
C. 대용량 메모리를 제공하는 서버 타입으로, 가상화 기술을 통해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 지원된다.
63.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VPC 환경에서 서버의 네트워크 환경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한 대의 서버에는 최대 3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장착할 수 있다.
B. 한 대의 서버에는 각기 다른 서브넷 대역의 IP를 여러 개 받을 수 없다.
C. 서버의 사설망 대역은 RFC1918 표준 대역을 따른다.
D. 각기 다른 VPC에 속해있는 서버들도 VPC Peering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B. 서버에 여러 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장착하면 각기 다른 서브넷 대역의 IP를 받을 수 있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VPC 환경에서는 한 대의 서버에 최대 3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장착할 수 있다.
C. VPC의 IP 주소 범위는 10.0.0.0/16, 172.16.0.0/16, 192.168.0.0/16 등 RFC1918에서 정의한 사설 IP 대역을 따른다.
D. VPC Peering을 설정하면 서로 다른 VPC에 속한 서버들 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64. RAID 1+0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최소 디스크가 2개 이상이어야 한다.
B. RAID 1으로 구성된 볼륨을 RAID 0으로 구성한다.
C. 저장공간의 손실이 50%이다.
D. 단순 볼륨에 비해 읽기, 쓰기 속도가 뛰어나다.
A. RAID 1+0(또는 RAID 10)은 최소 4개의 디스크가 필요하다.
B. RAID 1+0은 먼저 두 개의 디스크를 미러링(RAID 1)한 후, 이러한 미러링된 디스크 쌍을 스트라이핑(RAID 0)하여 구성한다.
C. RAID 1+0은 미러링으로 인해 전체 디스크 용량의 절반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저장공간의 손실이 50%이다.
D. RAID 1+0은 스트라이핑과 미러링의 결합으로 읽기 및 쓰기 성능이 단일 디스크에 비해 향상된다.
65.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VPC 환경에서 제공되는 GPU 서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A. NVDIA T4, V100 이용이 가능하다.
B. 서버 한 대당 꽂을 수 있는 T4의 최대 개수는 2개이다.
C. 서버 한 대당 꽂을 수 있는 V100의 최대 개수는 4개이다.
D. Grid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D.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GPU 서버는 NVIDIA Tesla T4 및 V100 GPU를 제공하지만, NVIDIA Grid 기술에 대한 언급은 없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NVIDIA Tesla T4 및 V100 GPU를 제공한다.
B. 서버 한 대에 NVIDIA T4 GPU를 최대 2개까지 장착할 수 있다.
C. 서버 한 대에 NVIDIA V100 GPU를 최대 4개까지 장착할 수 있다.
66. 다음 중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의 Live Migr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A. 일반 서버의 경우 호스트 서버 장애 시 Live Migration이 작동한다.
B. BareMetal 서버의 경우 시간이 조금 걸리지만 Live Migration이 가능하다.
C. Live Migration이란 서버가 죽지 않고 호스트서버가 변경되는 것을 뜻한다.
D. Live Migration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신청이 필요하다.
Live Migration
서버가 죽지 않고 호스트서버가 변경되는 것
C.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은 VM 서버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 다른 호스트 서버로 이동시키는 기술이다.
A. 호스트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 아닌 VM 서버의 재시작이 이루어진다.
B. 베어메탈 서버는 물리 서버로,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 지원되지 않는다.
D.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은 별도의 서비스 신청 없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이다.
67. 다음 중 상품 신청을 위해 상품 이용 신청서를 작성해야 하는 상품을 고르시오. (복수 정답)
A. Cloud Advisor
B. Backup
C. Security Monitoring
D. Cloud IoT Core
A. Cloud Advisor는 상품 이용 신청 버튼을 통해 신청해야 사용할 수 있다.
B. Backup 서비스는 별도의 상품 이용 신청 없이 바로 리소스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C. Security Monitoring 서비스는 별도의 신청 없이 이용 약관 동의만으로 사용할 수 있다.
D. Cloud IoT Core 서비스는 중단되었다. (2024.12.03)
68. 다음 중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CLI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A. 서버에 CLI 패키지가 이미 내장되어 있다.
B. CLI는 따로 제공되지 않는다.
C. CLI 참조서에서 CLI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서버에 설치한다.
D. 고객센터를 통해 CLI 이용을 신청한다.
[CLI] 명령줄 인터페이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CLI 참조서에서 CLI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서버에 설치한다
C. CLI 가이드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A. 서버에 기본적으로 CLI 패키지가 내장되어 있지 않다.
B.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Ncloud CLI를 제공한다.
D. CLI 이용을 위해 별도의 신청이 필요하지 않다.
69.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MC(Main console)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A. 상품 별 상세 사용 가이드 문서를 제공한다.
B. 모바일 콘솔은 제공하지 않는다.
C. 사용 중인 상품 이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D. 자주 사용하는 상품을 고정할 수 있다.
B.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모바일 콘솔 앱을 제공하여, 모바일 환경에서도 클라우드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각 상품에 대한 상세 사용 가이드 문서를 제공한다.
C. 콘솔을 통해 현재 사용 중인 상품의 이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D. 콘솔에서 자주 사용하는 상품을 북마크하여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70. 다음 중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 (복수정답)
A. 24시간 365일 운영하는 고객센터를 보유
B. 국내에 데이터센터를 1개 보유
C. 웹콘솔만 사용 가능
D. 다양한 리전을 보유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24시간 365일 고객 지원을 제공한다.
D.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국내외 여러 리전을 보유하여 글로벌 서비스를 지원한다.
B.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국내에 여러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각' 데이터센터가 있다.
C.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웹 콘솔 외에도 모바일 콘솔을 제공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71. 다음 중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지 않는 상품은?
A. Container Registry
B. HPC
C. Organization
D. Telepoter
D. 해당 이름의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대용량 데이터 이전을 위한 Data Teleporter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컨테이너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Container Registry 서비스를 제공한다.
B. 고성능 컴퓨팅을 위한 HPC (High-Performance Computing) 서비스를 제공하며, 파트너사의 HPC 플랫폼과 연동하여 클러스터를 빠르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C. 다양한 계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Organization 서비스를 제공한다.
72.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쿠버네티스 워커 노드에 설치되지 않는 요소는 무엇인가?
A. docker
B. kubelet
C. controller-manager
D. kube-proxy
C. 쿠버네티스의 컨트롤 플레인 구성 요소로, 클러스터의 상태를 관리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구성 요소는 마스터 노드에 설치되며, 워커 노드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쿠버네티스 워커 노드의 주요 설치 구성 요소
- docker: 컨테이너 런타임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하고 관리한다.
- kubelet: 각 노드에서 실행되며, 컨테이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 한다.
- kube-proxy: 네트워크 프록시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적절한 컨테이너로 라우팅 한다.
쿠버네티스 마스터 노드의 주요 설치 구성 요소
- etcd: 분산 키-값 저장소로, 클러스터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 kube-apiserver: 클라이언트와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 간의 모든 요청을 처리하는 API 서버이다.
- kube-scheduler: 새로 생성된 Pod를 적합한 워커 노드에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 kube-controller-manager: 클러스터 내의 컨트롤 루프를 실행하며, 노드 상태 관리, 복제 컨트롤 등을 담당한다.
- cloud-controller-manager: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행되는 컨트롤러를 실행하며, 클라우드 공급자와 통합한다.
73. Object Storage가 일반적인 분산파일 시스템과 다른점은 무엇인가?
A. 저장 용량에 한계가 없다.
B. 장애시에 복구가 가능하다.
C. 다양한 접근 경로를 제공한다.
D. 파일단위로 저장 및 복제한다.
D.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객체 단위로 저장하며, 전통적인 분산파일 시스템처럼 파일 단위로 저장 및 복제하지 않는다.
A.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수평적으로 확장이 가능하며, 저장 용량에 제한이 없다. 이는 일반적인 분산파일 시스템에서도 구현 가능하다.
B.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복제(Replication)와 이레이저 코딩(Eraser Coding)을 통해 데이터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은 분산파일 시스템에서도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C.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RESTful API 등을 통해 HTTP 기반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분산파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NFS, SMB 등)를 제공한다.
74. 다음 중 분산파일 시스템인 것은 무엇인가?
A. EXT3
B. CODA
C. NTFS
D. JFS
B. 1987년 이후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개발된 분산 파일 시스템으로, 여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파일을 분산 저장하고 접근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A. EXT3: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저널링 파일 시스템으로, 단일 시스템에서의 파일 관리를 위해 설계된 것이다.
C. NTFS: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으로, 단일 시스템에서의 파일 관리를 위해 설계된 것이다.
D. JFS: IBM에서 개발한 저널링 파일 시스템으로, 단일 시스템에서의 파일 관리를 위해 설계된 것이다.
75. Linux에서 LVM을 구성하고자 합니다. Fdisk에서 LVM용 파티션을 구성하려고 하는데 LVM의 파티션 번호는 무엇인가요?
A. 83
B. e6
C. 80
D. 8e
D. 8e: 리눅스에서 LVM(Logical Volume Manager) 파티션 타입 코드
A. 83: 리눅스 기본 파일 시스템 파티션 타입
B. C.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파티션 타입 코드이다.
76. 다음 중 CLI를 사용하여 Kubernetes service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하는 것은?
A. calico
B. kubectl
C. ncloud cli
D. kubelet
B. kubectl: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로, 서비스 생성, 업데이트,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 calico: 네트워크 정책과 보안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플러그인이다.
C. ncloud cli: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자원 관리를 위한 명령줄 인터페이스로, 쿠버네티스 서비스 제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D. kubelet: 각 노드에서 실행되며, 컨테이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에이전트이다.
77. 다음 중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Kubernetes Service 상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Container Registry 상품과 연동이 가능하다.
B. VPC 플랫폼에서는 워커노드를 최대 50개까지 생성 가능
C. Classic 플랫폼에서는 워커노드를 최대 10대까지 생성 가능
D. Master Node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pem key가 필요하다.
D. 마스터 노드에 직접 접근할 필요 없이, 제공되는 kubeconfig 파일을 통해 kubectl로 클러스터를 관리할 수 있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Kubernetes Service는 Container Registry와 연동하여 컨테이너 이미지를 관리하고 배포할 수 있다.
B. VPC 환경에서 Kubernetes Service의 워커 노드는 최대 50개까지 생성할 수 있다.
C. Classic 환경에서는 워커 노드를 최대 10대까지 생성할 수 있다.
78. 파일시스템 중 파일의 시작 위치와 크기를 가지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고전적인 파일시스템 구조이며 단순하지만 데이터 공간에 대한 낭비가 심한 파일시스템 방식은 무엇인가?
A. 연속 할당 방식
B. 연결 할당 방식
C. 색인 할당 방식
D. 링크 연결 방식
A. 연속 할당 방식: 파일을 디스크 상의 연속된 블록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구현이 단순하지만, 파일 크기를 미리 예측해야 하며, 외부 단편화로 인해 저장 공간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B. 연결 할당 방식: 각 블록이 다음 블록의 주소를 포함하여 연결 리스트 형태로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외부 단편화를 방지하지만, 임의 접근 속도가 느리고, 중간 블록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후 데이터에 접근하기 어렵다.
C. 색인 할당 방식: 파일의 모든 블록 주소를 색인 블록에 모아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임의 접근이 빠르며, 외부 단편화를 방지하지만, 색인 블록의 크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D. 링크 연결 방식: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파일 할당 방식이다.
79.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쿠버네티스 마스터 노드에 설치되지 않는 요소는 무엇인가?
A. etcd
B. apiserver
C. sheduler
D. kubelet
D. kubelet: 각 워커 노드에서 실행되며, 컨테이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에이전트이다. 마스터 노드가 아닌 워커 노드에 설치된다.
A. etcd: 분산 키-값 저장소로, 쿠버네티스의 모든 클러스터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마스터 노드에 설치된다.
B. apiserver: 쿠버네티스의 모든 요청을 처리하는 중앙 진입점으로, 클라이언트와 컨트롤 플레인 간의 통신을 담당한다. 마스터 노드에 설치된다.
C.scheduler: 새로 생성된 Pod를 적절한 워커 노드에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마스터 노드에 설치된다.
cf) 72번 설명
80. RAID 0(스트라이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A. 단순볼륨에 비해 쓰기 속도가 뛰어나다.
B. 단순볼륨에 비해 읽기 속도가 뛰어나다.
C. 단순 볼륨에 비해 데이터 안정성이 높다.
D. 저장공간의 손실이 없다.
C. RAID 0은 데이터 중복이나 패리티 정보를 저장하지 않아, 하나의 디스크만 고장 나도 모든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안정성이 단순 볼륨보다 낮다.
A. RAID 0은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여 쓰기 속도를 향상시킨다.
B. 여러 디스크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읽을 수 있어 읽기 속도가 증가한다.
D. 모든 디스크의 용량을 합산하여 전체 저장공간으로 활용하므로, 저장공간의 손실이 없다.
81. Archive Storage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A. 3rd party 툴 없이도 다수의 vm에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있다.
B. 각 오브젝트별 URL이 생성된다.
C. AWS S3 API를 사용할 수 있다.
D. 용량은 최대 40TB까지이며, 고객센터 문의를 통해 언제든 용량을 무한히 확장할 수 있다.
C. Archive Storage는 AWS S3 API를 지원하여, S3 호환 API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A. Archive Storage는 객체 스토리지로 설계되어 있어,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처럼 VM에 직접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없다.
B. Archive Storage는 장기 보관용 스토리지로, 각 오브젝트에 대한 개별 URL을 제공하지 않는다.
D. Archive Storage는 페타바이트(PB) 규모까지 확장 가능하며, 40TB로 제한되지 않는다.
82. VPC 환경의 Standard 서버 타입 중 지원하지 않는 서버 스펙은?
A. 2vCPU 8G RAM
B. 4vCPU 16GB RAM
C. 8vCPU 32G RAM
D. 12vCPU 64G RAM
standard 서버 타입은 CPU : Memory = 1 : 4
cf) 17번 설명
83. 다음 중 쿠버네티스의 Po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쿠버네티스는 Container를 직접 관리한다.
B.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단위이다.
C. 하나의 Pod에는 여러 개의 Container가 구성될 수 있다.
D. 쿠버네티스 객체 모델 중 만들고 배포할 수 있는 가장 작고 간단한 단위이다.
A.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파드(Pod)를 관리한다. 파드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쿠버네티스의 최소 배포 단위이다.
B. 파드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단위로,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동일한 네트워크와 스토리지를 공유한다.
C. 하나의 파드에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테이너들은 밀접하게 결합되어 함께 배치되고 스케줄된다.
D. 파드는 쿠버네티스에서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배포 단위이다.
84. Linux에서 추가 디스크 용량을 데이터 유실없이 증설하고자 한다. 추가 디스크의 용량을 증설한 후 어떤 명령어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A. fdisk
B. growpart
C. lvm
D. mkdisk
B. growpart는 기존 파티션의 크기를 데이터 유실 없이 확장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특히 클라우드 환경에서 디스크를 동적으로 확장할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dev/sda2 파티션을 확장하려면 growpart /dev/sda 2 명령어를 사용한다.
A. fdisk는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그러나 기존 파티션의 크기를 데이터 유실 없이 동적으로 확장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C. lvm(Logical Volume Manager)은 논리 볼륨을 관리하고 크기를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물리 파티션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확장하지는 않는다.
D. mkdisk라는 명령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85.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환경에서의 VPC AC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접근 소스는 IP로만 설정 가능하다.
B. In/Outbound에 대한 AGC를 설정할 수 있다.
C. 한 대의 서버에는 한 개의 ACG 매핑만이 가능하다.
D. ACG는 서버에 할당된 이후에도 언제든 룰 수정이 가능하다.
B. ACG는 Inbound와 Outbound 트래픽에 대한 규칙을 설정하여 서버의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D. ACG는 서버에 할당된 이후에도 규칙을 수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사항은 즉시 적용된다.
A. ACG의 접근 소스는 IP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한 Deny-Allow Group도 지정할 수 있다.
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당 최대 3개의 ACG를 적용할 수 있다.
86. VPC 플랫폼상의 Kubernets Service에서는 최대 몇 대의 워커노드 생성이 가능한가?
A. 10대
B. 30대
C. 50대
D. 100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VPC 환경에서 제공되는 Kubernetes Service에서는 클러스터당 최대 50대의 워커 노드를 생성할 수 있다.
87. API를 이용하여 Object Storage로 파일을 업로드하려 한다. 이때 단일 파일의 최대 크기는 얼마인가?
A. 1TB
B. 2TB
C. 5TB
D. 10TB
저장할 수 있는 단일 파일의 최대 크기는 10TB까지 지원되며 대규모의 미디어 파일도 제한 없이 저장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88. Object Storage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OpenStack Swift API 를 사용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B. 데이터 저장 공간을 초기 40TB이며, 특정 양식을 통해 증설할 수있다.
C. 라이프사이클 기능을 통해서 일정 시간이 지난 데이털르 Archive Storage 로 데이터 이관이 가능하다.
D. 콘솔을 이용해서 업로드 할 수 있는 최대 오브젝트 크기는 2G이다.
C. Object Storage의 수명 주기 정책을 활용하면 일정 기간이 지난 데이터를 자동으로 Archive Storage로 이관할 수 있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Archive Storage는 OpenStack Swift API를 지원하지만, Object Storage는 Amazon S3 호환 API를 제공한다.
B. Object Storage는 사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확장되며, 초기 40TB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증설 요청 없이도 GB 단위에서 PB 단위까지 확장 가능하다.
D. 콘솔을 통해 업로드할 수 있는 단일 오브젝트의 최대 크기는 2GB이며, API를 사용할 경우 최대 10TB까지 업로드할 수 있다.
89. 다음 중 리눅스 서버의 기본 OS 용량은?
A. 50GB
B. 100GB
C. 150GB
D. 200GB
A. 50GB: 리눅스 서버의 기본 OS 디스크 용량
B. 100GB: 윈도우 OS의 기본 디스크 용량이며, 리눅스 서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90. 김초록씨는 클라우드 상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한다.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는 OOO에, 아키이빙 용도의 데이터는 OOO에 보관해야 한다. 각 OOO에 맞는 단어가 순차적으로 들어간 보기를 고르세요.
A. Object Storage, Block Stroage
B. Archive Storage, Object Storage
C. Object Storage, Archive Storage
D. Archive Storage, NAS
C. Object Storage, Archive Storage: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는 Object Storage에, 아카이빙 데이터는 Archive Storage에 저장하는 것이 적합하다.
A. Object Storage, Block Storage: Block Storage는 주로 서버의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아카이빙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B. Archive Storage, Object Storage: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는 Object Storage에, 아카이빙 데이터는 Archive Storage에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D. Archive Storage, NAS: NAS는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공유에 적합하며,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의 저장소로 사용되지만, 아카이빙 용도로는 Archive Storage가 더 적합하다.
91. File system의 데이터 저장 방식 중에서, 데이터 저장 공간의 비효율성이 존재하는 저장방식은?
A. 링크방식
B. 인덱스방식
C. 연속할당방식
D. 분산저장방식
C. 연속 할당 방식: 파일을 디스크의 연속된 블록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외부 단편화로 인해 디스크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이다.
A. 링크 방식: 파일의 각 블록이 다음 블록의 주소를 저장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외부 단편화 문제를 해결하지만 직접 접근이 어렵다.
B. 인덱스 방식: 파일의 모든 블록 주소를 인덱스 블록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외부 단편화 문제를 해결하고 직접 접근이 용이하다.
D. 분산 저장 방식: 파일을 여러 위치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외부 단편화 문제를 해결하지만 관리가 복잡할 수 있다.
92. Linux에서 NAS를 마운트 할 때 사용하는 옵션은 무엇인가?
A. mount -t nas
B. mount -t ext4
C. mount -t nfs
D. mount -t nef
리눅스에서 NAS(Network Attached Storage)를 마운트할 때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유형은 NFS(Network File System)이다. 따라서, mount 명령어를 사용할 때 -t 옵션으로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해야 하며, NFS의 경우 -t nfs를 사용한다.
C. mount -t nfs: NFS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는 프로토콜로, NAS를 마운트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A. mount -t nas: 'nas'라는 파일 시스템 유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B. mount -t ext4: ext4는 로컬 디스크에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 유형으로, 네트워크 스토리지인 NAS를 마운트할 때는 적합하지 않다.
D. mount -t nef: 'nef'라는 파일 시스템 유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93. 다음 중 VM으로 부터의 간섭현상을 줄일 수 있는 서버 타입을 모두 고르시오
A. High CPU
B. VDS
C. Bare-metal
D. High-memory
B. VDS (Virtual Dedicated Server):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지만, 물리적 자원을 독립적으로 할당받아 다른 VM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C. Bare-metal: 가상화 계층 없이 물리 서버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다른 VM의 간섭이 전혀 없다.
A. High CPU: 가상화된 환경에서 CPU 자원이 강화된 서버 타입으로, 다른 VM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D. High-memory: 가상화된 환경에서 메모리 자원이 강화된 서버 타입으로, 다른 VM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94. 다음 중 컨테이너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A. 자신이 올라가있는 서버에 있는 커널을 함께 공유한다.
B. 효율적이지 못한 기술이다.
C. 물리서버 위에서는 3대만 운영이 가능하다.
D. 가상서버 위에서는 1대만 운영이 가능하다.
A. 컨테이너는 호스트 OS의 커널을 공유하며, 이를 통해 경량화와 빠른 실행이 가능하다.
B. 컨테이너는 리소스 사용 효율성이 높고, 애플리케이션의 이식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기술이다.
C. 컨테이너는 경량화된 특성으로 인해 물리 서버의 자원 한도 내에서 수십에서 수백 개까지도 운영이 가능하다.
D. 가상 서버 위에서도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다.
95. Kubernetes에서 정의하고 있는 가장 기본 단위는?
A. Pod
B. Deployment
C. Ingress
D. Service
A. Pod: 쿠버네티스의 기본 단위로,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네트워크와 스토리지를 공유한다.
B. Deployment: 파드의 배포와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상위 개념으로, 파드의 생성 및 스케일링을 제어한다.
C. Ingress: 클러스터 외부에서 내부 서비스로의 HTTP 및 HTTPS 접근을 제어하는 리소스로, 파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D. Service: 파드의 집합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정의하며, 로드 밸런싱과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한다.
96. 도커이미지를 바탕으로 도커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는?
문제가 이상함. 도커 이미지 생성하는 명령어를 묻는 것으로 가정.
A. Docker push
B. Docker login
C. Docker build
D. Docker run
C. Docker build: Dockerfile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커 이미지를 생성할 때 사용한다.
A. Docker push: 로컬 이미지를 원격 레지스트리에 업로드할 때 사용한다.
B. Docker login: 도커 레지스트리에 로그인할 때 사용한다.
D. Docker run: 도커 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할 때 사용한다.
97. 고객이 기존에 사용하던 오라클 라이센스를 BYOL 형태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로 이관하고자 한다. 이때 적합한 서버 타입은?
A. High-memory server
B. Standard server
C. VDS
D. Bare-metal
D. Bare-metal: 가상화되지 않은 물리 서버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오라클의 클라우드 라이선스 정책에 부합하여 BYOL 형태로 오라클 라이선스를 이관할 수 있다.
A. High-memory server: 가상화된 환경에서 메모리 집약적인 작업에 최적화된 서버 타입으로, 오라클의 클라우드 라이선스 정책상 적합하지 않다.
B. Standard server: 일반적인 용도의 가상화된 서버 타입으로, 오라클의 클라우드 라이선스 정책상 적합하지 않다.
C. VDS: 가상 전용 서버로, 물리적 자원을 독립적으로 할당받지만, 오라클의 클라우드 라이선스 정책상 적합하지 않다.
98. VPC 환경에서의 ACG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지원되는 프로토콜은 TCP, UDP, ICMP 이다.
B. 최대 50개의 룰을 설정할 수 있다.
C. Inbound, Outboud에 대해서 제어가 가능하다.
D. 서버의 단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는 최대 3개의 ACG를 적용할 수 있다.
B. 하나의 ACG에는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규칙을 각각 최대 50개씩 설정할 수 있으므로, 총 100개의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A. ACG는 TCP, UDP, ICMP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C. ACG는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트래픽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
D. VPC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당 최대 적용 가능한 ACG의 개수는 3개이다.
99.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서버를 생성하면 기본 네트워크 링크의 속도는 어떻게 되는가?
A. 1Gbps
B. 100Gbps
C. 500Gbps
D. 10Gbps
기본 네트워크 링크 속도 : 1Gbps
100.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다양한 Media 상품을 제공합니다. 다음 중 제공되는 Media 상품이 아닌 것은?
A. Video Player
B. NAVER Player
C. Image Optimizer
D. VOD Station
B.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미디어 상품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A. Video Play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플레이어 서비스로, 다양한 디바이스와 웹, 앱 환경에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C. Image Optimizer: 이미지 최적화를 위한 서비스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미디어 상품 중 하나이다.
D. VOD Station: VOD 동영상을 다양한 시청 환경에 맞게 변환하여 송출할 수 있는 서비스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미디어 상품이다.
101. 다음 중 Kubernetes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사용자는 Kubernetes 클러스터 내 Master 서버에 접근이 가능하다.
B. Kubernetes Service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NAS와 연동이 가능하다.
C. Kubernetes Service는 public subnet에 배치가 가능하다.
D. Kubernetes Ingress를 Application LoadBalancer 상품에 연동이 가능하다.
A. Kubernetes에서 Master 노드(컨트롤 플레인)는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관리하며, 사용자가 직접 접근할 수 없다.
B. Kubernetes Service는 블록 스토리지와 연동되지만,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직접 연동되지 않는다.
C.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Kubernetes 클러스터는 Private Subnet에만 배치가 가능하다.
D. Kubernetes Ingress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Application Load Balancer(ALB)와 연동 가능하다.
102.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VPC 플랫폼 서버 상품에 대한 내용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서버에 추가 스토리지는 최대 15개까지 장착 가능하다.
B. 서버에는 1개의 Network Interface만 장착 가능하다.
C. 서버의 관리자 계정 패스워드를 알기 위해서는 pem key가 필요하다
D. 1개의 Network Interface에는 여러 IP를 부착할 수 없다.
A. 서버 생성 시 기본 스토리지 1개가 제공되며, 이외에 최대 15개의 스토리지를 추가할 수 있다.
C. 서버 생성 시 발급되는 pem 키 파일은 초기 관리자 계정의 패스워드를 확인하거나 서버에 접속할 때 필요하다.
B. 서버에는 기본적으로 1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장착되며, 추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할 수 있다.
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Secondary IP를 추가하여 여러 IP를 할당할 수 있다.
103.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오토스케일링데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헬스체크 방식은 LoadBalancer와 서버 방식을 제공한다.
B. 오토스케일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서버 타입 군으로 Micro가 있다.
C. Colddown 타입은 헬스체크를 진행하기 전 헬스체크의 유예기간을 지칭하는 말이다.
D. ASG그룹에는 항상 최댓값 수 만큼의 서버가 유지된다.
B. Micro 서버 타입이 오토스케일링에 지원되는지 명확한 정보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고성능을 요구하는 오토스케일링에 Micro 서버 타입은 적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D. 오토스케일링 그룹에서는 설정된 최소 및 최대 서버 수 범위 내에서 서버 수가 수요에 따라 조절되며, 항상 최댓값만큼 서버가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A. 헬스체크 방식으로 로드밸런서와 서버 방식을 모두 제공하므로 올바른 설명이다.
C. 쿨다운 기간은 스케일링 작업 후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하므로, 헬스체크 유예기간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르다.
104. Linux에서 LVM 구성을 하고자 한다. LVM 구성이 올바른 명령어 사용 순서는 무엇인가?
A. pvcreate > fdisk > lvcreate > vgcreate
B. lvcreate > vgcreate > pvcreate > fdisk
C. fdisk > pvcreate > vgcreate > lvcreate
D. pvcreate > lvcreate > fdisk > vgcreate
Linux에서 LVM(Logical Volume Manager)을 구성하는 명령어 사용 순서
fdisk: 디스크를 파티셔닝하여 LVM에 사용할 파티션을 생성
pvcreate: 생성한 파티션을 물리 볼륨(Physical Volume)으로 초기화
vgcreate: 하나 이상의 물리 볼륨을 묶어 볼륨 그룹(Volume Group)을 생성
lvcreate: 볼륨 그룹 내에서 논리 볼륨(Logical Volume)을 생성
105. Container Registry 이용시 이미지를 업로드 하기 위한 docker 명령어는 무엇인가?
A. docker upload
B. docker put
C. docker move
D. docker push
docker upload #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
docker put #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
docker move #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
docker push # 도커 이미지를 레지스트리에 업로드할 때 사용하는 올바른 명령어
106. 서버 상세보기에서 확인 가능한 내용은?
A. 관리자 패스워드
B. 설치된 모든 패키지
C. 서버 사양(스펙)
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속도
C. 서버 사양(스펙): 서버의 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 상세 사양을 확인할 수 있다.
A. 관리자 패스워드: 서버 상세보기에서는 관리자 비밀번호를 직접 확인할 수 없으며, 초기 설정 시 제공된 pem 키 파일을 사용해 접근할 수 있다.
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속도: 서버 상세보기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속도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B. 설치된 모든 패키지: 서버 상세보기에서는 설치된 모든 패키지 목록을 직접 제공하지 않는다.
107. 내 서버 이미지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내 서버 이미지는 Storage 메뉴에서 Storage 단위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B. Classic 환경에서는 서버가 정지중인 상태에서만 생성 가능하다.
C. VPC 환경에서는 서버가 운영중인 상태에서도 생성 가능하다.
D. 기존 서버 스펙과 다른 서버 스펙으로 서버를 만들 수 있다.
A. 내 서버 이미지는 Storage 메뉴에서 Storage 단위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잘못된 설명이다. 내 서버 이미지는 서버 단위로 생성하며, 스토리지 단위로 생성하지 않는다.
B. Classic 환경에서는 서버가 정지 중인 상태에서만 생성 가능하다: 올바른 설명이다. Classic 환경에서는 서버를 정지한 후에만 서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C. VPC 환경에서는 서버가 운영 중인 상태에서도 생성 가능하다: 올바른 설명이다. VPC 환경에서는 서버가 운영 중인 상태에서도 서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D. 기존 서버 스펙과 다른 서버 스펙으로 서버를 만들 수 있다: 올바른 설명이다. 내 서버 이미지를 사용하여 기존 서버와 다른 스펙의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108.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인증키 분실 시 인증키 변경 긴으을 제공한다.
B. 공인 IP는 서버 당 두 개까지 할당 가능하다.
C. 린구스 서버의 경우, 초기 접속 ID는 root이다.
D. 서버 최초 접속 시 초기 패스워드는 인증키를 이용해서 확인할 수 있다.
B. VPC 환경에서는 서버당 하나의 공인 IP만 할당할 수 있다.
A. 인증키를 분실한 경우, 새로운 인증키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C. 리눅스 서버의 기본 관리자 계정은 'root'이다.
D. 서버 생성 시 설정한 인증키를 통해 초기 관리자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109. 다음 중 VPC 플랫폼에서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서버의 상태를 모두 고르시오.
A. 운영중
B. 정지
C. 시작중
D. 부팅중
A. 운영중: VPC 환경에서는 서버가 운영 중인 상태에서도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B. 정지: 서버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C. 시작중: 서버가 시작 중인 상태에서는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다.
D. 부팅중: 서버가 부팅 중인 상태에서는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다.
110.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생성한 Linux 서버에서 기본 스토리지의 Device 명은 무엇인가?
A. /dev/hdd1
B. /dev/xvda
C. /dev/sda
D. /dev/xda
B. /dev/xvda: 올바른 디바이스 명이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Linux 서버에서 기본 스토리지는 일반적으로 /dev/xvda로 표시된다.
A. /dev/hdd1: 잘못된 디바이스 명이다. 기본 스토리지로 사용되지 않는다.
C. /dev/sda: 일부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기본 스토리지 명은 아니다.
D. /dev/xda: 잘못된 디바이스 명이다. 기본 스토리지로 사용되지 않는다.
111. NAS 스냅샷의 최대 보관 기간은 얼마인가?
A. 7일
B. 15일
C. 24일
D. 30일
NAS 스냅샷의 최대 보관 기간은 7일이다.
112. 다음 중 부팅 디스크가 HDD일 경우, 추가할 수 있는 Block Storage의 종류는?
A. HDD만 가능
B. SSD만 가능
C. HDD, SSD 모두 가능
D. NAS
C. HDD와 SSD 모두 추가할 수 있다. 부팅 디스크가 HDD인 경우에도 추가 스토리지로 HDD와 SSD를 선택할 수 있다.
A. HDD만 추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B. SSD만 추가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D. NAS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스토리지로, 블록 스토리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113. 다음 중 도커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Description file 을 의미하는 것은?
A. Docker file
B. Container file
C. Base file
D. Description file
A. Docker file: 도커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설명 파일을 의미한다. Dockerfile이라고 불리며, 이미지 빌드에 필요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B. Container file: 잘못된 설명이다. 도커 이미지와 관련된 파일이 아니다.
C. Base file: 잘못된 설명이다. 도커 이미지 생성에 관련된 파일이 아니다.
D. Description file: 잘못된 설명이다. 도커 이미지 생성에 사용되는 파일은 Dockerfile이다.
114. NAS에 스냅샷 생성을 설정할 경우 시스템 기본 생성 주기는 무엇인가?
A. 매일 00:00
B. 매일 04:00
C. 매일 12:00
D. 매일 08:00
시스템 기본 생성 주기는 매일 00:00이다.
115. 쿠버네티스Service Type에서 가상 머신에 할당된 공인 혹은 사설 IP로 접근하기 위한 Service Type은 무엇인가?
A. Cluster IP
B. LoadBalacer
C. NodePort
D. ClusterPort
B. LoadBalancer: 가상 머신에 할당된 공인 혹은 사설 IP로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Service Type이다.
A. ClusterIP: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Service Type이다.
C. NodePort: 클러스터 외부에서 특정 노드의 IP와 포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Service Type이다.
D. ClusterPort: 존재하지 않는 Service Type이다.
116. 네이버 클라우드플랫폼 쿠버네티스의 Ingre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외부에서 오는Traffic들을 클러스터 내부의 Service로 라우팅하기 위한 규칙의 집합이다.
B. Service 타입 지정은 Node port 혹은 로드밸런서 지정을 하여야 한다.
C. NCR은 호스트 기반 및 URL Path 기반 라우팅에 대한 규칙을 사용한다.
D. Ingres에 대한 설정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설정한다.
C. 네이버 클라우드 레지스트리(NCR)는 Ingress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호스트 기반 및 URL 경로 기반 라우팅 규칙은 Kubernetes Ingress 리소스에서 설정된다.
A. 외부에서 오는 트래픽을 클러스터 내부의 서비스로 라우팅하는 규칙의 집합이다.
B. Ingress를 사용하려면 서비스 타입을 NodePort나 LoadBalancer로 지정해야 한다.
D. Ingress 설정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설정할 수 있다.
117. 내 서버 이미지를 통해 윈도우 서버를 새로 생성할 경우, OOO을 동작시켜 OOO를 변경해야 합니다. 각 OOO에 맞는 단어가 순차적으로 들어간 보기를 고르세요
A. sysprp, sid
B. sysprep, uuid
C. uuidgen, uuid
D. uuidchg, uuid
B. sysprep, sid: 내 서버 이미지를 통해 윈도우 서버를 새로 생성할 경우 sysprep을 동작시켜 SID를 변경해야 한다.
A. sysprp, sid: 잘못된 설명이다. 'sysprp'는 오타이며, 올바른 명령어는 'sysprep'이다.
C. uuidgen, uuid: 잘못된 설명이다. 'uuidgen'은 UUID를 생성하는 명령어로, 윈도우 서버의 SID 변경과 관련이 없다.
D. uuidchg, uuid: 잘못된 설명이다. 'uuidchg'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다.
118.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원하는 만틈 무한정으로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B. 서버를 정지한 후엔 서버 스펙 변경이 가능하다
C. 디스크는 SSD 타입과 HDD 타입을 제공한다
D.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안의 다른 상품들과 연계하여 상품이 가능하다.
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계정 유형과 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라 서버 생성 한도가 설정되어 있으며, 무한정으로 서버를 생성할 수 없다.
B. 서버를 정지한 상태에서 CPU나 메모리 등의 스펙을 변경할 수 있다.
C.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SSD와 HDD 타입의 스토리지를 모두 제공한다.
D. 다양한 상품들과 연계하여 통합적인 서비스 구성이 가능하다.
119. 김초록씨는 약 80TB의 데이터를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옮겨야 한다. 다음 중 가장 빠르고 안전한 방법은?
A. Archive Storage 상품을 사용한다
B. 인터넷을 통해 전송한다
C. Data Teleporter 상품을 사용한다
D. Backup 상품을 사용한다
C. Data Teleporter 상품을 사용한다: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데 적합하다.
A. Archive Storage 상품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지 않다.
B.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것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 시 속도와 안전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D. Backup 상품은 데이터 백업을 위한 서비스로, 대용량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에는 적합하지 않다.
120. 다음 중 VPC 플랫폼 내 서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A. 공인 IP를 통한 접속이 가능하다.
B. SSL-VPN 서비스를 활용하여 서버 접속이 가능하다.
C. 서버 접속용 공인 IP를 제공하여, 포트 포워딩 방식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D. Cloud insight를 통한 상세 모니터링 설정이 가능하다.
C. VPC 환경에서는 포트 포워딩 방식을 통한 서버 접속이 불가능하다.
A. 공인 IP를 통해 서버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B. SSL-VPN 서비스를 활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D. Cloud Insight를 통해 상세 모니터링 설정이 가능하다.
121. 스냅샷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스냅샷 이미지를 NCP 내 타 계정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B. 스냅샷 이미지를 타 리전에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C. VPC 환경에서는 증분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다.
D. 운영중인 서버에 마운트 된 볼륨도 스냅샷 생성이 가능하다.
B. 스냅샷 이미지를 타 리전에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C. VPC 환경에서는 증분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다.
A. 스냅샷 이미지를 NCP 내 타 계정과 공유할 수 없다.
D. 마운트 해제된 상태에서 스냅샷 생성이 권장된다.
122. NA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NAS 마운트를 위해서는 서버 OS 별로 별도의 추가 패키지 설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
B. NFS 프로토콜 NAS 마운트할 때 최초 생성 시 할당된 ID / PW 를 이용해서 로그인 해야한다.
C. NFS 프로토콜 NAS 마운트 할 서버에 대해 ACL 설정해줘야 한다.
D. NAS CLI로도 접근 제어 설정이 가능하다.
A. NAS를 마운트하려면 서버 OS에 따라 NFS 관련 패키지를 설치해야 할 수 있다.
B. NFS 프로토콜로 NAS를 마운트할 때 ID/PW를 이용해 로그인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ACL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C. NFS 프로토콜로 NAS를 마운트할 서버에 대해 ACL 설정은 선택 사항이다.
D. NAS CLI를 통해 접근 제어 설정을 할 수 없다. 접근 제어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을 통해 설정해야 한다.
123. 공인 IP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A. 서버 1대 당 1개의 공인 IP만 할당이 가능하다.
B. 공인 IP는 실제 사용하지 않고 발급만 한 상태에선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C. 외부 인터넷 통신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한다.
D. Public Subnet에 생성된 리소스에 부착할 수 있다.
B. 공인 IP는 실제 사용하지 않고 발급만 한 상태에서도 요금이 부과된다.
A. 서버 1대당 1개의 공인 IP만 할당이 가능하다.
C. 공인 IP는 외부 인터넷 통신을 필요로 할 때 사용된다.
D. 공인 IP는 Public Subnet에 생성된 리소스에 부착할 수 있다.
124. MC(Main Console) Dashboard 에서 기본적으로 보여지는 내용이 아닌것은?
A. Daily Event
B. 결제 정보
C. CPU Top 5
D. 내 서버 장애 내역
B. 결제 정보: MC(Main Console) 대시보드에서는 기본적으로 결제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MC 대시보드에서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항목
- Daily Event: 일일 이벤트 현황을 보여준다.
- CPU Top 5: CPU 사용률이 높은 상위 5개 서버를 표시한다.
- Security Monitoring: 보안 모니터링 현황을 제공한다.
- 서비스 이용 내역: 현재 이용 중인 서비스의 내역을 보여준다.
- 네트워크 이용 내역: 네트워크 사용 현황을 표시한다.
- 공지사항: 최신 공지사항을 제공한다.
- 신규 서비스: 새로 출시된 서비스를 안내한다.
- 프로모션 등 마케팅 배너: 진행 중인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다.
125. NAS 볼륨 용량 증설 단위는?
A. 50GB
B. 100GB
C. 150GB
D. 200GB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NAS 볼륨은 기본 용량이 500GB에서 시작하며, 100GB 단위로 증설할 수 있다.
126.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VPC 환경에서의 내 서버 이미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A. 내 서버 이미지를 이용해서 생성한 서버의 사설 IP는 변하지 않는다.
B. 내 서버 이미지 사용에 있어 과금은 발생하지 않는다.
C. 내 서버 이미지는 생성한 리전 이외의 다른 리전으로 복제가 불가능하다.
D. 내 서버 이미지는 서버가 운영중인 상태에서도 생성이 가능하다.
D. 내 서버 이미지는 서버가 운영 중인 상태에서도 생성이 가능하다.
A. 내 서버 이미지를 이용해 생성한 서버의 사설 IP는 변할 수 있다.
B. 내 서버 이미지 사용 시 저장 공간에 대한 과금이 발생한다.
C. 내 서버 이미지는 생성한 리전 이외의 다른 리전으로 복제가 가능하다.
127. 다음 중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 상품에서 사용 불가능한 OS 항목은?
A. CentOS
B. Fedora
C. Windows
D. Ubuntu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버 운영체제(OS)
- CentOS
- Ubuntu
- Windows Server 2012 R2
- Windows Server 2016
- Oracle Linux
128. 다음 중 리눅스에서 여러 개의 스토리지를 ㅎ라나의 논리적인 볼륨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은?
A. nfs-utils
B. 동적디스크 할당
C. LVM
D. span volume
C. LVM: 여러 개의 스토리지를 하나의 논리적인 볼륨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A. nfs-utils: NFS(Network File System) 사용을 위한 패키지이며,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B. 동적디스크 할당: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개념이 아니다.
D. span volume: Windows에서 사용되는 스토리지 구성 방식이며, 리눅스에서의 논리 볼륨 그룹 구성과는 다르다.
129. 다음 중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Storage 상품이 아닌 것은? (복수 정답)
A. NAS
B. Block Storage
C. SAN
D. DAS
C. SAN: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SAN(Storage Area Network)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D. DAS: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DAS(Direct Attached Storage)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A. NAS: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B. Block Storage: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130. 다음 중 Container registry 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A. Container registry 는 private endpoint 만 제공된다.
B. Container registry 는 object storage 를 근간으로 한다.
C. Container registry 에 로그인하기 위해선 access key 와 secret key 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D. Container registry 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A. Container Registry는 퍼블릭 엔드포인트와 프라이빗 엔드포인트를 모두 제공한다.
B. Container Registry는 Object Storage를 기반으로 한다.
C. Container Registry에 로그인하려면 API 인증키의 Access Key와 Secret Key가 필요하다.
D. Container Registry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131. 리눅스에서 HTTPD 서버의 로그파일 위치는 어디인가? (단, 패키지로 설치)
A. /var/log/
B. /var/log/apache
C. /var/log/httpd
D. /var/log/httpd/log
C. HTTPD 서버의 기본 로그 파일 위치는 /var/log/httpd이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가이드 문서에서는 HTTPD 서버의 로그 파일 위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CentOS나 RHEL과 같은 리눅스 배포판에서 패키지로 설치한 Apache HTTPD 서버의 로그 파일은 /var/log/httpd/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이 디렉토리 내에 access_log와 error_log 등의 파일이 위치 합니다.
A. /var/log/: 너무 일반적인 디렉토리이며, HTTPD 로그는 이 위치에 저장되지 않는다.
B. /var/log/apache: Ubuntu나 Debian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로이며, CentOS/RHEL의 기본 경로는 아니다.
D. /var/log/httpd/log: 기본 설정에서 사용되지 않는 경로이다.
132.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루트 볼륨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A. HDD / SDD 두 가지 볼륨 타입을 제공한다.
B. 루트 볼륨에 대한 리사이징(다운사이징) 기능을 제공한다.
C. 서버 OS가 윈도우의 경우 100G의 루트 볼륨을 선택할 수 있다.
D. 서버 OS가 리눅스일 경우 루트 볼륨은 50G만 제공하고 있다.
B. 루트 볼륨에 대한 리사이징(다운사이징)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루트 볼륨은 확장만 가능하며, 다운사이징은 지원되지 않는다.
D. 서버 OS가 리눅스일 경우 루트 볼륨은 기본적으로 50GB로 제공되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용량도 선택할 수 있다.
A. HDD와 SSD 두 가지 볼륨 타입을 제공한다.
C. 서버 OS가 윈도우의 경우 100GB의 루트 볼륨을 선택할 수 있다.
133. 다음 중 VPC 플랫폼에서 서버 생성 과정으로 올바른 순서는? (1) Subnet 생성 (2) 서버 생성 (3) VPC 생성 (4) NACL 생성
A. (1) > (3) > (4) > (2)
B. (3) > (4) > (1) > (2)
C. (3) > (1) > (4) > (2)
D. (1) > (4) > (3) > (2)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VPC 환경에서 서버를 생성하는 순서
- VPC 생성: 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 Subnet 생성: VPC 내에 서브넷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세분화한다.
- NACL 생성: 네트워크 ACL을 설정하여 서브넷의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트래픽을 제어한다.
- 서버 생성: 설정된 네트워크 환경 내에 서버를 생성한다.
134. Kubernetes 에서 service 객체를 통해 만들어지는 로드밸런서 타입은?
A. Network LB
B. Application LB
C. Classic LB
D. Network Proxy LB
D. Network Proxy Load Balanc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Kubernetes 서비스에서 `Service` 객체를 통해 생성되는 로드 밸런서 타입이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Kubernetes에서 사용하는 Service 객체로 로드 밸런서를 생성할 때는 Network Proxy Load Balancer (NPLB)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Kubernetes의 Service 객체가 로드 밸런서 역할을 수행할 때, 프록시 방식의 동작을 통해 클러스터 내부 서비스로 외부 트래픽을 전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A. Network Load Balancer (NLB)는 네트워크 계층 4 (L4)에서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로드 밸런서이지만,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Kubernetes 서비스에서는 Network Proxy Load Balancer (NPLB)가 더 적합한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NPLB는 프록시 방식을 사용하여 세션 유지와 TCP 기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Kubernetes의 Service 객체를 통해 생성하는 로드 밸런서는 NPLB로 한정됩니다.
A. Network Load Balanc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되지만, Kubernetes의 `Service` 객체를 통해 프록시 방식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B. Application Load Balancer: L7 계층에서 동작하며, Kubernetes의 `Service` 객체를 통해 직접 생성되지 않는다.
C. Classic Load Balancer: 이전 세대의 로드 밸런서로, 현재는 주로 사용되지 않는다.
135. 다음 중 Kubernetes service 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Kubernetes service 는 private subnet 에만 배치가 가능하다.
B. Kubernetes service 내 master node 는 HA 구성이 되어 있다.
C. Kubernetes service 생성 시 설정한 worker node 는 추가 생성이 불가능하다.
D. Kubernetes service 가 생성되면 자동으로 Kubernetes service 에 적용되는 acg 가 생성된다.
A. Kubernetes 서비스는 프라이빗 서브넷에만 배치할 수 있다. 이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설계이다.
D. Kubernetes 서비스가 생성되면 자동으로 해당 서비스에 적용되는 ACG(Access Control Group)가 생성된다.
B.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Kubernetes 서비스에서 마스터 노드는 반드시 HA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C. Kubernetes 서비스 생성 시 설정한 워커 노드는 이후에도 추가 생성이 가능하다.
136. 추가 디스크의 용량을 기존 10GB 에서 20GB 로 크기 변경을 하였습니다. 이때 파티션 볼륨 할당 정보(10GB/20GB)를 확인할 수 있는 Linux 명령어는 무엇인가요?
A. df
B. mkfs
C. lsblk
D. ls
C. lsblk: 디스크와 파티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디스크의 크기와 파티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A. df: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표시하는 명령어로, 파티션 크기 정보는 확인할 수 없다.
B. mkfs: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로, 디스크 정보 확인과는 관련이 없다.
D. ls: 파일 및 디렉터리 목록을 나열하는 명령어로, 디스크나 파티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137. 다음 중 블록 스토리지의 디스크타입 변경을 위한 액션으로 적절한 보기는?
A. 스토리지 디스크 타입을 바로 변경
B. 스냅샷을 생성 후, 스토리지를 생성하며 디스크 타입을 변경
C. 서버를 정지시킨 후 스토리지를 부착시킨 후 스냅샷 생성, 스토리지를 생성하며 디스크 타입을 변경
D. 불가능하다.
B. 스냅샷을 생성한 후, 해당 스냅샷을 이용해 스토리지를 생성하며 디스크 타입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방법을 통해 블록 스토리지의 디스크 타입을 변경할 수 있다.
A. 스토리지 디스크 타입을 바로 변경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C. 서버를 정지시킬 필요 없이 스냅샷을 생성 후 새로운 스토리지를 만들며 디스크 타입을 변경할 수 있다.
D. 블록 스토리지의 디스크 타입 변경은 불가능하지 않다.
138. 파일시스템 중 네트웍으로 접근 가능한 파일시스템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A. NFS
B. Object Storage
C. CIFS
D. NTFS
B. Object Storage: 파일 시스템이 아닌 객체 스토리지로, 네트워크로 접근 가능한 파일 시스템과는 다르다.
A. NFS: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C. CIFS: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으로, 윈도우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D. NTFS: 로컬 파일 시스템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접근할 수 없다.
NAS (Network-Attached Storage)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스토리지로, 다수의 서버가 동시에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스토리지
NAS 종류
- NFS: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으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NAS에서 지원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서버가 파일을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다.
- CIFS: 윈도우 환경에서 네트워크로 접근 가능한 파일 시스템으로, NAS에서 지원된다.
- NTFS: 로컬 파일 시스템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이 아니다. NTFS는 주로 로컬 디스크에 사용되며,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이 아니다.
139. Micro 서버타입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서버의 사양은 2vCPU, 1G RAM, 50GB HDD 이다.
B. Classic 환경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C. Windows OS 는 지원하지 않는다.
D. 디스크 추가를 할 수 없다.
A. 서버의 사양에서 HDD 용량이 50GB로 고정된 것은 아니다. 실제로는 서버 타입에 따라 SSD 등 다른 스토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B. Micro 서버는 Classic 환경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C. Micro 서버는 Windows OS를 지원하지 않는다.
D. Micro 서버 타입은 추가 디스크 연결이 불가능하다.
140. 1PB 는 몇 GB 인가?
A. 100GB
B. 1024GB
C. 1000000GB
D. 1048576GB
1PB == 1048576GB
1PB는 1024TB, 1TB는 1024GB이므로 1PB = 1024 * 1024 = 1048576GB이다.
14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Container Registry 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A. Private EndPoint 구성이 가능하다.
B. 도커 레지스트리 HTTPS API V3 를 지원한다.
C. Object Storage 를 저장소로 사용한다.
D. 컨테이너 취약점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B. Container Registry는 도커 레지스트리 HTTP API V2를 지원하며, HTTPS API V3는 지원하지 않는다.
A. Container Registry는 Private Endpoint 구성을 지원하여 VPC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C. Container Registry는 Object Storage를 저장소로 사용한다.
D. Container Registry는 컨테이너 이미지 보안 취약점 스캔 기능을 제공한다.
142.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을 칭하는 단어로 옳은 것은?
A. RAAD
B. AIDE
C. RAID
D. AIDR
C. RAID: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로, 데이터 보호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된다.
A. RAAD: 잘못된 단어이다.
B. AIDE: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도구로, 데이터 저장 방식과는 관련이 없다.
D. AIDR: 잘못된 단어이다.
143. 도커이미지를 바탕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는?
A. Docker push
B. Docker login
C. Docker build
D. Docker run
cf) 96번 설명
144. Container Registry 상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도커 CLI 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B. Public, Private Endpoint 가 제공된다.
C. 컨테이너 취약점 분석 긴으을 제공한다.
D. 실제 Container 이미지는 Block Storage 에 보관된다.
실제 Container 이미지는 Object Storage에 보관된다.
145. 베어메탈 서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A. 몇 가지 정해진 스펙군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B. 제공되는 OS 로는 Oracle Linux 가 있다.
C. CPU 종류 및 코어수를 내가 원하는대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D. 디스크 구성은 RAID 1 + 0 및 RAID 5 로 할 수 있다.
C. 베어메탈 서버는 정해진 스펙으로 제공되며, 사용자가 CPU 종류나 코어 수를 임의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없다.
A. 베어메탈 서버는 몇 가지 정해진 스펙군에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B. 베어메탈 서버는 CentOS, Oracle Linux, Windows 등의 운영체제를 제공한다.
D. 디스크 구성은 RAID 1+0 및 RAID 5로 설정할 수 있다.
'Cloud > N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P 207 Dump (0) | 2024.12.02 |
---|---|
NCP 202 Dump (0) | 2024.12.02 |
NCP 시험 개요 (2) | 2024.12.02 |
Naver Cloud Platform 교육 (3) | 2024.12.02 |
네이버 클라우드 Ununtu Server 생성 (0) | 2024.10.15 |